UPDATED. 2024-04-18 15:41 (목)
엔씨소프트·넥슨·넷마블...“꼭 그랬어야만 했니”
엔씨소프트·넥슨·넷마블...“꼭 그랬어야만 했니”
  • 전완수 기자
  • 승인 2021.03.16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브리핑 전완수 기자] 엔씨소프트와 넥슨, 넷마블 등 국내 주요 게임업체들이 운영하는 인기 게임들의 이른바 ‘확률 아이템’의 조작 의혹이 시간이 갈수록 첨차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실이 지난 2일 예고한 이른바 ‘확률 장사 5대 악덕 게임’의 자체 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접수했다.

하태경 의원이 정의한 5대 악덕 게임은 엔씨소프트의 리니지와 넥슨의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마비노기 등 3개, 넷마블의 모두의 마블 등이다.

조사 결과에는 이른바 ‘1등 없는 로또’라며 큰 비난을 받은 메이플스토리의 ‘방방방/보보보’ 문제와 유사한 사례도 포함됐다.

하태경 의원은 지난달 27일 ‘메이플스토리 등의 게임에서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이 조작됐다는 의혹이 있다’라는 다수의 제보를 통해 벌인 자체 조사 결과를 16일 공정거래위원회에 이첩했다.

공정위는 ‘전자상거래법’ 등 관계 규정에 따라 법을 위반한 게임사에 적법한 처분을 내릴 수 있는 공공기관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이른바 ‘1등 없는 로또’라며 비난을 받은 메이플스토리의 ‘큐브’ 논란과 유사한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3개의 사례를 추가로 발굴했다. ▲‘마비노기’의 세공 시스템/자이언트 종족 아이템과 ▲‘리니지’의 숙련도 시스템이 그것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마비노기는 ‘세공’으로 아이템을 강화하면 추가적인 능력을 부여해 준다.

이때 최상위의 능력을 얻으려면 엄청난 돈을 투자해 뽑기를 해야 하는데, 한 게이머가 아이템 별로 각각 1000회나 넘는 실험을 한 결과 최상위급 능력이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은 아이템은 9개 중의 7개나 차지했다.

‘제로 확률’ 의혹이 사실로 밝혀진 사건도 있었다. 특정한 캐릭터만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에 추가되는 능력은 돈을 주고 확률형 뽑기를 해야 하는데, 어떤 상황에서는 뽑히기도 하고 어떤 상황에서는 뽑히지 않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게이머의 구체적인 실험 결과로 압박이 심해지자, 운영사는 자체 조사를 벌였고 의혹은 사실로 밝혀졌다. 데이터가 누락 돼 추가능력을 얻을 수 없었다고 시인한 것이다.

또 다른 ‘제로 확률’의 대표적인 사례였지만, 당시는 확률 조작 문제가 불거지지 않아 그대로 넘어갔다.

이러한 의혹은 ‘리니지’에서도 제기됐다. 리니지도 마찬가지로 아이템을 계속 사용하면 숙련도가 올라가면서 아이템의 능력까지 좋아지는데 이때, 더 좋은 능력을 얻으려면 엄청난 돈을 들여서 뽑기를 해야 한다.

이에 한 게이머가 600회에 걸쳐 숙련도 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특정한 능력은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제로 확률’ 의심 증거다.

위의 소개된 사례는 그 뽑기 과정에서 적게는 수백만 원 많게는 수억 원의 돈이 들어간다. 그러나 게임 업계는 각종 편법을 통하여 확률 정보를 숨기고 있어 스스로 확률을 모두 공개하지 않으면 조작을 직접 확인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확률 조작 의혹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확률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드는 교묘한 방해 행위도 고발했다. 이를테면, 확률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도록 저화질 그림 파일로 제공하거나, 링크를 홈페이지 최하단의 작은 글씨로 배치해 확률 정보를 쉽게 확인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행위들이다.

하태경 의원실은 이러한 21개의 소비자 권익 침해 행위를 유형별로 정리해 제출했다.

한편, 하 의원실은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와 3대 게임사(넥슨코리아, NC소프트, 넷마블)에 자료를 협조 요청했으나 아직 답변이 취합되지 않아 이번 조사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추후 제출된 3대 게임사의 답변을 바탕으로 보완 자료를 권익위에 추가로 제출할 예정이다. 다만, GSOK은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하 의원은 “국회도 게임 업계가 법을 위반하면 확률적으로 처벌하고, 그 확률은 공개하지 않도록 법을 통과시킨다면 과연 환영해줄지 의문”이라며 “그동안 산업 보호라는 허울 좋은 명분에 숨어 소비자를 우롱한 대가를 한꺼번에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